종류 | 체의 기준a 기준 |
|
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
기층용 | BBb-1 (40) | 100 | 95~100 | 80~100 | 70~100 | 55~90 | 40~80 | 30~70 | 17~55 | 10~42 | 5~28 | 3~22 | 2~16 | 1~10 | ||||||||||||||||||||||||||
BB-2 (30) | 100 | 95~100 | 80~100 | 55~90 | 46~90 | 40~70 | 28~55 | 19~42 | 7~26 | 4~19 | 2~13 | 1~7 | ||||||||||||||||||||||||||||
BB-3 (25) | 100 | 90~100 | 71~90 | 56~80 | 45~82 | 29~59 | 19~45 | 7~25 | 5~17 | 3~12 | 1~7 | |||||||||||||||||||||||||||||
BB-4 (25Rb) | 100 | 95~100 | 80~90 | 60~78 | 46~68 | 25~45 | 45~33 | 6~18 | 4~16 | 3~10 | 2~8 | |||||||||||||||||||||||||||||
중간층 | MC-1c | 100 | 90~100 | 70~90 | 60~80 | 35~55 | 20~35 | 11~23 | 5~16 | 4~12 | 2~7 | |||||||||||||||||||||||||||||
WCd-1 (13) | 100 | 90~100 | 76~90 | 44~74 | 28~58 | 11~32 | 5~21 | 3~15 | 2~10 | 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
WC-2 (13Fd) | 100 | 95~100 | 84~92 | 55~70 | 35~50 | 18~30 | 10~21 | 6~16 | 4~8 | 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
표층용 | WC-3 (20) | 100 | 90~100 | 72~90 | 56~80 | 35~65 | 23~49 | 10~28 | 5~19 | 3~13 | 2~8 | |||||||||||||||||||||||||||||
WC-4 (20F) | 100 | 95~100 | 75~90 | 67~84 | 45~65 | 35~50 | 18~30 | 10~21 | 6~46 | 4~8 | 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
WC-5 (20Rd) | 100 | 90~100 | 69~84 | 56~74 | 35~55 | 23~38 | 10~23 | 5~16 | 3~12 | 2~10 | 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
WC-6 (13R) | 100 | 90~100 | 73~90 | 40~60 | 25~40 | 11~22 | 7~16 | 4~12 | 3~9 |
a | 기층용 체는 KS A 5101-1에 규정하는 금속망 체 53㎜, 37.5㎜, 31.5㎜, 26.5㎜, 19㎜, 13.2㎜, 9.5㎜, 4.75㎜, 2.36㎜, 600㎛, 300㎛, 150㎛, 75㎛에 해당하고, 표층용 체는 26.5㎜, 19㎜, 13.2㎜, 9.5㎜, 4.75㎜, 2.36㎜, 600㎛, 300㎛, 150㎛, 75㎛에 해당한다. |
b | BB(Black Base)는 기층용 가열 아스팔트 혼합물을 의미하며, R은 소성변형에 저항성이 높은 혼합물을 뜻한다. |
c | MC(Intermediate Course)는 중간층용 혼합물을 의미하며 기층의 요철을 보정하고 표층에 가해지는 하중을 기층에 균일하게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. |
d | WC(Wearing Course)는 표층용 가열 아스팔트 혼합물을 뜻하며, F는 광물성채움 (석분)가 많이 함유된 혼합물, R은 소성변형에 저항성이 높은 혼합물을 뜻한다. |
종류 | 기층용 | 중간층 |
|
||||||||||||||||
다짐횟수(회) | 양면 각 50 | 양면 각 50 | 양면 각 50 | 양면 각 75 | |||||||||||||||
안정도 (N) | 3,500 이상 (5,000 이상)a | BB-2 (30) | 5,000 이상 (7,500 이상) | 6,000 이상 | |||||||||||||||
흐름값 (1/100㎝) | 10~40 | 20~40 | 20~40 | 15~40 | |||||||||||||||
공극률 (%) | 3~8 | 3~7 | 3~6 | 3~5 | |||||||||||||||
포화도 (%) | 60~75 | 65~85 | 65-80 | 70~85 | |||||||||||||||
간극율 (VMA)(%) | - | - | 간극율 기준표 참조 | ||||||||||||||||
간접인장강도비 (TSR) | - | - | 0.75 이상 | ||||||||||||||||
동적안정도 | - | - | 750 이상 | 1,000 이상 | |||||||||||||||
|
0.6 이상 | 0.8 이상 | |||||||||||||||||
|
6,000 이상 | 8,000 이상 | |||||||||||||||||
|
55 이상 |
a | ( ) 안은 대형차 교통량이 1일 1방향, 1,000대 이상인 경우에 유동에 의한 소성 변형이 우려되는 포장에 적용하며 공시체의 다짐횟수는 양면 75회로 한다. |
b | 터프니스(Toughness)는 KS F 2382의 간접 인장강도 시험시 하중-변위곡선의 하부면적을 산출한 값으로서 이때, 파괴 시 변위량은 재하하중이 최대치에 이르는 시점을 뜻한다. |
c | 순환골재를 사용한 혼합물의 아스팔트 추출 후 침입도 시험은 KS F 2381에따라 아스팔트를 추출 및 회수하고, KS M 2252에 따라 침입도를 측정한다. |
골재 최대지수(mm) |
|
|||||||||||
13 | 13.0 | 14.0 | 15.0 | 16.0 | ||||||||
20 | 12.0 | 13.0 | 14.0 | 15.0 | ||||||||
25 | 11.0 | 12.0 | 13.0 | 14.0 |
개질아스콘 종류 | ||||||
SMA | PMA (SBS) | LATEX | CRM | 길소나이트 | 캠크리트 | 구스 |